본문 바로가기
365일 꽃 이야기

' 수도승의 두건 ' 같다 하여 < 투구꽃 >

by 무님 2020. 9. 24.
728x90

투구꽃은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뿌리는 새발처럼 생기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3∼5개로 갈라진다. 각 갈래조각은 다시 갈라지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전체가 3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길다.
꽃은 9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총상 또는 겹총상꽃차례[]에 달리며 작은꽃줄기에 털이 난다. 꽃받침조각은 꽃잎처럼 생기고 털이 나며 뒤쪽의 꽃잎이 고깔처럼 전체를 위에서 덮는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어지며 씨방은 3∼4개로서 털이 난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3개가 붙어 있고 타원 모양이며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유독식물로서 뿌리에 강한 독이 있는데, 초오()라고 하며 약재로 쓴다. 한국의 속리산 이북, 중국 동북부, 러시아에 분포한다.

 

 

투구꽃

 

 

투구꽃의 꽃말은 < 밤의 열림 >이라고 한다.

투구꽃, 꽃 모양이 병사가 쓰는 투구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몸에 강한 독성이 있다. 어렸을 때 잎 모양이 취같은 산나물처럼 생겨 봄이면 사람들이 잘못 뜯어먹다가 곤욕을 치르기도 한다. 영명은 꽃모양처럼 '수도승의 두건'을 뜻한다.

꽃 모양이 특이해 여름에 시원한 곳에서 정원용으로 길러볼 수 있는 식물이다. 물론 독성이 강하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마늘쪽 모양의 뿌리에 강한 독성이 있다. 한방에서는 초오(草烏)라고 하며 몸을 따뜻하게 하고 원기를 회복하게 하는 약초로 쓰인다.

8-9월에 보라색 꽃이 핀다. 현재 상업적으로 재배하는 경우는 흔치 않지만 햇볕만 충분하면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정원이나 큰 나무 아래처럼 습기가 충분한 곳에 심는다.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데, 이 과는 많은 식구들이 있다. 이름도 예쁜 으아리, 요강나물, 할미꽃, 노루귀, 바람꽃, 꿩의다리, 매발톱꽃, 제비고깔, 개승마, 금매화 등 수십가지나 된다. 투구꽃 종류는 꽃이 노란 '노랑투구꽃', 키가 작은 '각시투구꽃', 금오오돌또기라고도 하는 '세뿔투구꽃', 곧게 자라는 '선투구꽃' 등이 있다.

 

 

* 초오

투구꽃의 뿌리

 

 

초오를 오두()라고 하는 것은 모양이 까마귀 머리와 같다는 말이다. 또한 두 갈래로 나뉘어진 모양이 새 부리와 같아서 서로 잘 맞기 때문에 까마귀 입이란 뜻으로 오훼()라고 하였다. 요동()의 변방 밖에서는 가을이 되면 초오두()의 즙을 내어 햇볕에 말려 독약을 만들어 짐승을 사냥할 때 사용했으므로 사망()이라고도 했다고 전해진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혀를 마비시키며 맛은 몹시 맵고 쓰며 성질은 뜨겁고 독이 많다.[]

초오는 두통, 복통, 종기, 반신불수, 인사불성, 구안와사에 쓰인다. 풍습증으로 인한 마비증상이나 인사불성, 류머티즘성관절염, 신경통, 요통, 파상풍 등을 치료하며 배가 차가워서 생기는 복통 등에 응용된다.약리작용으로 진통, 진정, 항염, 국부마비완화 작용이 있으며 다량 복용시 심장운동흥분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고르지 않은 원추형으로 위쪽에는 줄기 자국이 남아 있고 바깥 면은 회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쭈그러진 세로주름이 있다. 꺾은 면은 어두운 회색으로 다각형의 고리무늬 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질은 단단하다.

다른 이름으로 토부자(), 간급근(), 경자(), 금아(), 독공(), 독백초(), 사망(), 오두(), 오훼(), 원앙국(), 죽절오두(), 해독(), 초오두() 등이 있다. 그 싹을 간급근(), 끓인 즙을 사망()이라고 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