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일 오늘의 꽃은 < 조 >이다.
조는 영문명으로 ‘Barn grass’ 또는 ‘Chinese corn’이라고 한다. 속명의 ‘Setara’는 라틴어의 ‘seta(강한 털)’에서 유래하며, 종명의 ‘italica’는 '이탈리아산의' 를 뜻한다. 밭에서 재배하며 높이 1∼1.5m로 가지를 치지 않는다. 잎은 바소꼴에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이 잎집[葉齧]으로 된다. 잎혀는 가늘털이 밀생한다.
꽃이삭은 길이 15∼20cm로서 한쪽으로 굽고 짧은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꽃이 밀착한다. 1개의 작은 가지에는 1개의 양성화와 단성화가 달리고 밑부분에 가시 같은 털이 있다. 작은이삭은 길이 3mm 정도로서 1개의 꽃이 된다. 첫째 포영(苞潁:작은이삭 밑에 난 한 쌍의 포)은 길이 0.8∼1mm로서 3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2mm 정도로서 5맥이 있으며 까락[芒]은 없다. 퇴화된 꽃의 호영(護穎:화본과 식물 꽃의 맨 밑을 받치고 있는 조각)은 5맥이 있고 까락이 없으며 둘째 포영과 비슷하다. 영과(穎果)는 황색이고 둥글며 떨어진 다음 포영이 남는다.
조의 원산지는 동부 아시아이며 그 원형(原型)은 강아지풀(S. viridis)이다. 조는 고대부터 재배되었으며, 중국에서는 BC 2700년에 이미 5곡(五穀)의 하나였다. 한국에서는 옛날부터 구황작물(救荒作物)로서 중요시되어 왔으며 가뭄을 타기 쉬운 산간지대에서는 밭벼 대신 재배된다. 조가 세계적인 작물은 못되지만 한국에서는 옛날부터 전국적으로 재배해 온 작물로서 한때는 보리 다음으로 많이 재배했던 밭작물이었으나 요즈음에는 식생활이 바뀌면서 극히 적은 면적에서 재배되고 있다. 조의 분류와 품종을 살펴보면 봄에 뿌리는 봄조와 여름에 뿌리는 그루조로 구분된다.
조의 재배환경은 온난건조를 좋아하며 다소 가뭄이나 저온에도 잘 견딘다. 발아의 적온은 30∼31℃이다. 병해충으로는 조군데병이 있는데 잎이 점차 담갈색으로 변해서 찢어지고 가색의 가루를 날리다가 백발이 되는 병이다. 한국에서는 남부지방에서는 일본종, 북부지방에서 중국 전래 품종이 다소 재배되나 전국 재배 품종은 한국 재래품종이 주를 이룬다.
조의 꽃말은 < 평등 >이라고 한다.
조는 우리 문명의 기원과 깊은 관계가 있다. 바로 만년전에 시작된 황하문명을 탄생시킨 곡물이기 때문이다. 건조한 기후에 강하고 물이 부족한 곳에서도 잘 자란다. 이삭이 충분히 결실되었을 때 대를 잘라 쓰면 꽃꽂이용으로 훌륭하다. 특히 요즘 이삭색이 다양한 품종들이 나와 장식용으로 많이 쓰인다. 산간 시골길을 가다보면 길가 밭에 여기저기 심겨있다.
밭에서 재배하는 일년생작물이다. 우리 토종을 지키고 잡곡을 생산하는 지역에서는 흔히 재배한다. 꽃꽂이용으로 전문 재배하여 판매하는 곳도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가정에서도 화분에 또는 정원에 울타리 같은 곳에 심어볼수 있다. 조는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최근 조경용으로 벼과식물들이 많이 쓰인다. 새, 수크령, 강아지풀, 잔디.... 등, 이들은 잡초로 취급될만큼 번성력이 강해 도로변 가을화단용으로 잘 어울린다.
* 조의 효능
조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이지만, 단백질(약 9%)과 지질(약 3~4%)도 많이 함유되어있다. 철분이 풍부하여 빈혈을 예방해주고, 칼륨과 마그네슘 또한 풍부해 관절염과 골다공증에 좋은 영향을 준다. 비타민 B1, B2 등의 비타민도 쌀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아 체중 감소에 도움이 되고 배변 활동을 도와 변비와 대장암 예방에 효과적이다. 차조는 성질이 약간 차고 맛이 단데, 소화 흡수가 잘되어 체내에서 위를 다스려 주는 역할을 한다. 혈액생성을 빠르게 해 당뇨와 빈혈에 효과적이며, 신물, 구역질, 딸꾹질, 설사 등에도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조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혈당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며 피부병으로 가려울 때 좁쌀 뜨물로 닦아주거나 좁쌀 껍질을 끓여 땀띠를 씻으면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65일 꽃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예 품종으로 좋은 < 콜레우스 > (0) | 2020.09.23 |
---|---|
항암성분이 들어 있는 < 주목 나무 > (0) | 2020.09.21 |
G20정상회의의 로고로 사용 된 꽃 <금강초롱 > (0) | 2020.09.20 |
가을을 달큰한 향으로 물들이는 < 수국꽃차 > (0) | 2020.09.18 |
속절없는 사랑의 꽃 <아네모네 > (0) | 2020.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