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명자는 긴강남차, 결명차(決明茶), 초결명이라고도 한다. 결명(決明)이라는 명칭은 눈을 밝게 해준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이며 약용으로 재배한다.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짝수 1회 깃꼴 겹잎으로 2∼4쌍의 작은잎이 달린다. 작은잎은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이고 길이 3∼4cm이다. 노란색 꽃이 6∼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꽃받침은 5개이고 긴 달걀 모양이며 꽃잎은 5개로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의 원형이다. 수술은 10개로 길이가 일정하지 않고 씨방은 가늘며 길다. 꼬투리는 15cm 정도로 활처럼 굽고 녹색이다. 씨는 네모지고 1줄로 배열된다.
짧은 원기둥 모양이며 한 쪽 끝은 뾰족하고 다른 한 쪽 끝은 매끈하다. 양쪽의 옆에 황갈색의 넓은 세로줄 및 띠가 있고 질은 단단하다.
결명자란 눈을 밝게 해주는 씨앗이란 뜻이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와 맛이 있으며 약성은 달고 쓰고 짜며 약간 차다.[甘苦鹹微寒]
결명자는 양명(羊明), 양각(羊角), 마제결명(馬蹄決明), 초결명(草決明), 야녹두, 가녹두라고도 한다. 석결명(Cassia occidentalis :石決明)은 결명자와 전혀 다른 식물로 초세가 약하고 수량성도 낮으며 줄기 끝 부위에서만 꽃이 피고 열매를 맺고 팥꼬투리 모양과 비슷하다.
결명자의 효능
약효성분으로는 에모딘(emodin)·오브투시훠린(obtusifolin)·오브투신(obtus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동물실험 결과 혈압을 내려주는 효과가 인정되었고, 두꺼비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그밖에 포도상구균·대장균·인플루엔자균 등의 발육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약성(藥性)은 서늘하고, 맛은 달고 써서 간염치료에 유효하고, 간경화로 인한 복수에 쓰이며, 간장의 병변으로 인한 안질에도 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눈이 충혈되거나 햇빛을 볼 수 없을 정도로 시거나 눈물이 나오는 증상에 이용된다. 또, 급성결막염·각막혼탁 증세에도 쓰인다.
간화(肝火)를 내려 눈이 충혈되고 붓고 아프며 눈물이 흐르는 증상을 치료하고 야맹증에도 사용하며 열이 대장에 쌓여 생기는 변비에 효과가 있다. 또한 혈압을 내리고 동맥경화 예방에도 사용한다.
약리효과는 혈압 강하, 이뇨, 통변, 자궁수축작용과 피부진균 억제, 콜레스테롤 강하 등의 기능이 있다.
그밖에 이뇨·변비 등에도 효능이 있어서 습관성변비·고혈압 등의 치료제로 알려져 있다. 저혈압환자는 이용을 금하며, 삼씨[麻仁]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금한다. 대표적인 처방으로서 결명자산(決明子散)은 안질에 쓰인다. 또한 볶아서 차로 마시면 혈압이 내려간다고 한다.
결명자차 만드는 법
결명자차는 만드는 방법부터 아주 간단하다.
1. 결명자를 구입해서 깨끗이 씻기
2. 물기를 빼고 물기를 다 말려준다.
3. 후라이팬에 넣고 중불과 약불을 왔다갔다
하면서 볶는다.
4. 타지 않도록 뒤집어 준다.
5. 구수한 냄새가 나면 끝.
6. 다 볶은 결명자를 밀펴용기에 넣기.
'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 질경이 > (0) | 2021.07.07 |
---|---|
여인들의 산전 과 산후에 좋은 < 작약 > (0) | 2021.07.04 |
제2의 산삼이라 불리는 항염, 진통 치료제 < 오갈피 나무 > (0) | 2021.06.30 |
무병장수의 효능을 지닌 < 구기자 차 > (0) | 2021.06.24 |
허브의 모든 것 < 3 > (0) | 2021.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