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65일 꽃 이야기

바람에 나부끼니 모습이 아름다운 < 갈 대 >

by 무님 2020. 9. 1.
728x90

9월 1일 오늘의 꽃은 <갈대>이다.

갈대는 줄여서 갈이라고도 하며, 한자로 노() 또는 위()라 한다. 습지나 갯가, 호수 주변의 모래땅에 군락을 이루고 자란다.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많은 황색의 수염뿌리가 난다. 줄기는 마디가 있고 속이 비었으며, 높이는 3m 정도이다. 잎은 가늘고 긴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집은 줄기를 둘러싸고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수많은 작은꽃이삭이 줄기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처음에는 자주색이나 담백색으로 변한다. 포영()은 호영()보다 짧고 3맥이 있으며, 첫째 작은꽃은 수꽃이다. 양성소화()의 호영은 안쪽으로 말려서 끝이 까락처럼 되고,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2mm 정도이다. 열매는 영과()이고 종자에 갓털이 있어 바람에 쉽게 날려 멀리 퍼지며, 번식은 종자와 땅속줄기로 잘 된다. 어린 순은 식용으로 사용하며 중국에서는 노순()이라 한다. 이삭은 빗자루를 만들었고 이삭의 털은 솜대용으로 사용하였다. 성숙한 줄기는 갈대발·갈삿갓·삿자리 등을 엮는 데 쓰이고, 또 펄프 원료로 이용한다. 한방에서는 봄에서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하며, 부위에 따라 뿌리줄기를 노근(), 줄기를 노경(), 잎을 노엽(), 꽃을 노화()라 하여 진토()·소염()·이뇨·해열·해독에 사용한다.
한국 고전문학에서는 갈꽃을 한가롭고 평화스런 정경을 읊는 시재()로 다루었다. 또 《삼국사기》에 봉상왕을 폐위하는 데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그 표지로 갈대잎을 모자에 꽂았다고 하는 기록이 있다. 일본의 신화에 국토를 풍위원()이라 한 것은 전국에 갈대가 무성하였던 데 연유하였다.

 

 

갈대

 

 

갈대의 꽃말은 <신의, 믿음, 지혜, 음악>이라고 한다. 

‘갈대’ 하면 여자의 마음을 연상한다. 이런 데는 아마도 ‘갈대의 순정’ 이란 가요가 단단히 기여했을 성 싶다. 근데 많은 사람은 갈대와 억새를 혼동한다. 갈대는 꽃 이삭이 다소 수더분하게 생겼고 강가나 물가 등에 나는 습생식물이지만 억새는 꽃 이삭이 질서정연하게 생겼고 주로 들이나 산에서 난다. 바람에 나부끼는 모양은 갈대보다 억새가 훨씬 아름답다. 특히 역광으로 나부낄 때 은색 빛을 보면 경이롭기까지 하다. 그러니 ‘갈대의 순정’을 지은 작사가가 억새를 갈대로 혼동한 게 아닌가 싶다. 갈대는 주로 물기가 많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잘 자라 하천이나 냇가 같은 수변의 조경공사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개화 후 모습도 관상가치가 있지만 어느 정도 수질정화 기능도 있기 때문이다. 화본과 식물만을 모아 정원을 만들면 개성 있는 정원으로 가꿀 수 있으며 특히 가을철 관상용으로 좋은 품목이다.

꽃이 9월에 자주색으로 피었다가 자갈색으로 변한다. 늦가을에 우리가 흔히 보는 것은 꽃이 진 뒤에 종실이 갈색으로 달려 있는 것이다. 씨앗으로 번식하기도 하며 뿌리줄기를 잘라 늘려간다. 갈대는 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써 지구상에 4종류가 살고 있다. 우리나라엔 달뿌리풀과 갈대 두 가지가 있다. 학명에는 냇가에서 보통 울타리같이 자란다는 뜻이 들어 있다.

 

 

 

* 약용작물 - 개구리밥

개구리밥은 부평초·수평·머구리밥·자평이라고 한다. 논이나 연못의 물위에 떠서 산다. 가을에 모체에서 생긴 타원형의 작은 겨울눈이 물속에 가라앉아서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에 물위로 나와 번식한다. 엽상체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길이 5∼8mm, 나비 4∼6mm이고 앞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자주색이다. 엽상체 뒷면 가운데에서 가는 뿌리가 5∼11개 나오고 그 옆에서 새로운 싹이 생겨 번식한다.

꽃은 흰색이며 7∼8월에 간혹 피는 것이 있으나 매우 작아서 찾아보기 어렵다. 1개의 포 안에 2개의 수꽃과 1개의 암꽃이 생기며, 수꽃의 수술은 1개, 암꽃의 암술도 1개이며 화피가 없다. 열매는 포과로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연못에 키우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풀 전체를 소변불리·수종·단독·가려움증·두드러기·암종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이질로 탈항이 되었을 때 가루로 빻아 상처에 뿌린다. 아시아·유럽·아프리카·오스트레일리아·남북아메리카의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한다.

 

개구리밥

 

 

浮萍(부평)개구리밥의 전초

□ 다년생 초본으로 겨울에 얼어죽고 가을에 타원형의 겨울눈이 모체에서 떨어져 월동하고 다음해 봄 에 수면위에 떠서 번식한다. 엽상체는 납작하고 타원형이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자적색이다. 꽃은 엷 은 녹색으로 미세하고 가장자리에 난다.
□ 개화기 : 7~8월
□ 분포 및 환경 : 논, 연못, 수로
□ 수확·건조 : 6~9월에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 코피 날때 - 개구리밥 말린 것을 가루 내어 코 안에 불어넣는다.
- 참고 : 피부염증 치료와 이뇨작용을 나타낸다.

 

 

* 개구리밥 효능

 

부평에는 오리엔틸, 비텍신, 아비오제, 루테올린 외에 초산칼륨, 염화칼륨, 옥소가 함유되어 있다. 그 효능은 발한/이수/해독/소종작용이 있다 발진을 촉진하는 작용은 그다지 강하지 않으므로 주로 보조약으로 사용된다.

어린아이의 마진에 사용하기 좋으며 내복과 외용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약한 해열작용이 있어 가벼운 부열을 치료하는데도 사용된다 

 

 

* 질병에 따라 먹는 방법. 용법

 

 부평초, 개구리밥 효능은 약한 해열작용이 있어 여름철 고열이 아닐지라도 열이 좀처럼 내리지 않을 때 곽향, 패란, 금은화를 배합하여 사용하면 해열/이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부평초는 양혈해독의 작용이 우수하므로 혈열, 습독에 의해 나타나는 많은 병증의 치료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입안에 종창이 생긴 경우에 석고, 황련고를 배합하여 사용하는데 효과가 좋다.

 피부에 생긴 창양이 아직 화농하지 않았을 때는 신선한 부평을 찧어 대황, 용뇌 등을 더해 국부에 바르면 좋다. 소아의 구내염으로 구갈이 멎지 않을 때 감초를 배합하여 통증과 구갈을 멈추게 한다. 내복용으로 사용할 때는 끓이거나 환, 또는 가루로 만들어 쓰고 외용엔 물로 달여 환처에 김을 쐬고 그 물로 닦아내거나 가루를 개어서 붙인다. 내복하는 경우에는 마른 부평을 412g, 생부평이면 1240g내에 사용한다. 허약하거나 오줌량이 적은 사람에겐 신중히 쓴다.

약하게 뜨는 부열을 치료하는데도 사용된다. 어린아이가 여름철의 더운 기간 중에 매일 미열이 있으며 잘 내리지 않으면

개구리밥 효능 : 박하, 형개, 곽향을 배합해 사용하면 한열을 발산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