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30

야생에서 자라는 부추 < 산부추 > 11월 1일 오늘의 꽃은 이다. 산부추는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높이 30∼60cm이다. 비늘줄기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서 길이 2cm 안팎이고 밑부분과 더불어 마른 잎집으로 싸이며, 외피는 잿빛을 띤 흰색이고 두껍다. 잎은 2∼6개가 비스듬히 서고 둔한 삼각형이며 길이 20∼54cm, 나비 2∼7mm이다. 꽃은 8∼11월에 붉은 자줏빛으로 피고 꽃자루는 속이 비어 있으며 끝에 여러 송이가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작은꽃자루는 길이 1∼2.2cm이고 포는 넓은 달걀 모양이다. 화피갈래조각은 6개로서 넓은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뒷면에 녹색의 중륵이 있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보다 길다. 씨방 밑동에 꿀주머니가 있으며 꽃밥은 자줏빛이다. 열매는 삭과이다. 비늘줄기와 어린순은 식용한다. 한국·일본.. 2020. 11. 1.
담백하다가 달콤하게 < 아몬드 통팥 스팀케이크 > 오늘은 허부차와 함께하면 좋은 컵케이크를 소개해 본다. 케이크하면 버터를 이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신경쓰는 요즘 사람들에게 환영 받기가 힘들다. 하지만 버터를 이용하지 않고 스팀을 이용하여 만드는 오늘의 다과는 남녀노소를 마다하고 다양하게 즐기 수 있다. 아몬드 통팥 스팀케이크는 버터를 넣지 않아 담백하고, 깔끔한 맛의 찜케이크인데 통팥을 넣어주어 달콤하게 씹히는 맛을 더 했다. 향긋한 허브차와 곁들여 먹으면 고급스런 티타임을 즐기 수 있다. 재료 - 중력분 130g, 계란 180g, 설탕 140g, 베이킹파우더 3g, 소금 3g, 물 15g, 정종 13g, 물엿 10g, 팥배기 50g, 바닐라 엑스트랙 3g * 만드는 법 1. 밀가루는 베이킹파우더와 소슴을 넣고 채에 두번 내린다. 2. 계란은.. 2020. 10. 31.
부를 상징하는 꽃 < 거베라 > 10월 31일 오늘의 꽃은 이다. 거베라는 추위에 잘 견디는 여러해살이풀로 아시아 ·아프리카의 온대 및 열대가 원산이다. 대표종인 야메소니이(G. jamesonii)는 남아프리카 원산으로 아프리카거베라(G. viridifolia)를 기본으로 하여 육성한 교잡종이다. 이외에 화분심기용 왜성종과 만첩종도 있다. 잎은 모두 뿌리잎으로 길이가 30cm 정도이며 거친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중심으로부터 꽃대가 나와 지름 8∼12cm의 두상화(頭狀花)가 핀다. 꽃은 흰색 ·붉은색 ·노란색 등 다양하며, 통 모양의 작은 꽃의 꽃잎이 자라서 겹꽃이 되는 것도 있다. 개화기는 5~11월이다. 가을에 잎이 말라죽으면 새싹을 추위로부터 보호하여 겨울을 나게 한다. 번식은 3월에 포기나누기로 하는데 2~3년이.. 2020. 10. 31.
커피만 마시지 말고 < 명장시대 > 광명의 밤일마을은 외식하기 좋은 음식거리이다. 이곳에는 다양한 음식점들이 자리하고 있고 그만큼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는 곳이다. 그러다 보니 음식점 옆으로 카페들이 곳곳에 자리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곳을 꼽으라고 하면 단연 를 꼽는다. 명장 시대는 베이커리 카페로 자리한 규모가 어마어마하게 크다. 사실 카페라고 하기엔 음료의 맛과 특색은 내세울 것은 없지만 베이커리는 100%로 오는 사람의 감탄을 자아내는 곳이다. 명장 시대는 대중교통을 타고 가도 갈만한 곳이지만 주차시설이 잘 되어 있어 자가용을 이용하여 오는 고객들이 많은 곳이다. 주차장에서 내려 바로 보이는 2층 건물이 명장 시대의 메인 건물로 1층엔 베이커리와 음료를 판매하고 2층과 야외로 나와 쉴 수 있게 만들어 놓았.. 2020. 10. 30.
아토피 치료에 효과가 뛰어난 < 측백나무 > 10월 30일 오늘의 꽃은 이다. 측백나무는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지만 관목상이며 작은 가지가 수직으로 벌어진다. 비늘 모양의 잎이 뾰족하고 가지를 가운데 두고 서로 어긋나게 달린다. 잎의 앞면과 뒷면의 구별이 거의 없고 흰색 점이 약간 있다. 꽃은 4월에 피고 1가화이며 수꽃은 전년 가지의 끝에 1개씩 달리고 10개의 비늘조각과 2∼4개의 꽃밥이 들어 있다. 암꽃은 8개의 실편(實片)과 6개의 밑씨가 있다. 열매는 구과(毬果)로 원형이며 길이 1.5~2cm로 9~10월에 익고, 첫째 1쌍의 실편에는 종자가 들어 있지 않다. 잎은 지혈·이뇨 등에, 씨는 자양·진정 등에 사용한다. 한국(단양·양양·울진)·중국에 분포한다.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반송같이 되는 것을 천지백(for. si.. 2020. 10. 30.
하얗게 거품을 일으키는 물결같은 꽃 < 메밀꽃차 > 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에는 가을 달빛 아래 하얗게 펼쳐진 메밀꽃의 정취가 물씬 묻어난다. 메밀꽃은 말 그대로 ‘메밀의 꽃’이다. 그런데 이 메밀꽃이 바닷가에 사는 어부들 사이에서는 파도가 일었을 때 하얗게 부서지는 포말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또한 물보라를 뿌리며 하얀 거품이 일어나는 것을 ‘메밀꽃 일다’라고 한다. 바다에서는 파도의 거품이 메밀꽃인 것이다. 한편 하얗게 거품을 일으키는 물결을 ‘물꽃’이라 부르기도 한다. 메밀꽃은 9월 초순~9월 하순에 꽃을 피운다.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로 한의학에서는 교맥(蕎麥)이라고 부른다. 메밀의 원산지는 동아시아 북부 및 중앙아시아로 서늘한 고산지대의 자갈 땅에서 생산된 메밀일수록 맛이 좋다. 메밀꽃은 가지 끝이나 줄기 끝에 여러 송이가 무리 지어 피.. 2020. 10.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