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30

정열의 꽃 < 능소화 >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8. 4.
벨벳같은 부드러움 < 글록시니아 > 8월 3일 오늘의 꽃은 이다. 글록시니아는 브라질 원산이며 온실에서 재배한다. 덩이줄기[塊莖]가 있고 극히 짧은 줄기에서 몇 개의 잎이 마주난다. 잎은 잎자루가 있고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질이 두껍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또한 전체가 벨벳 같은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2∼3월에 종자를 심으면 8월에 꽃이 피는데, 꽃줄기는 높이 10∼15cm로서 끝에 1개의 백색 또는 적자색 꽃이 옆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생육적온은 25∼30℃이며 더운 여름은 직사광선을 피한다. 화관(花冠)은 종 모양이고 길이 5cm 정도로 윗부분이 넓어지면서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로서 암술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보통 덩이줄기로 번식한다. 품종으로는 팬저.. 2020. 8. 3.
잎과 꽃이 만날 수 없어 서로 상상만 한다는 < 상상화 > 8월2일 오늘의 꽃은 이다. 상상화의 꽃말은 라고 한다. 상사화, 잎과 꽃이 만날 수 없으니 서로 생각만 한다는 꽃(想思花)이다. 잎이 완전히 없어진 뒤 꽃이 나오니 이런 이름이 붙었겠지만 사실 야생화 중에는 꽃과 잎이 서로 보지 못하는 것들이 많다. 산수유, 깽깽이풀, 노루귀... 등 이른 봄에 피는 많은 야생화들이 꽃이 지고나서 잎이 본격적으로 나온다. 상사화류는 꽃이 아름다워 꽃꽂이용으로 훌륭한 소재다. 화단이나 공원에서 봄부터 나오는 잎 모양도 좋고 무리지어 군락을 이루고 있으면 개화기에 장관이다. 상사화류는 씨앗을 잘 맺지 않아 자연분구나 인공번식으로 늘린다. 인공번식은 칩핑법(chipping)이라 하여 알뿌리를 세로로 8등분하여 심어 자구를 늘려가는 방법이다. 개상사화는 추위에 다소 약해 중부.. 2020. 8. 2.
도종환님의 접시꽃 당신의 < 접시꽃 > 8월 1일 오늘의 꽃은 이다. 접시꽃은 접시꽃은 역사가 오래된 꽃으로 우리나라 전국에서 자란다. 봄이나 여름에 씨앗을 심으면 그해에는 잎만 무성하게 영양번식을 하고 이듬해 줄기를 키우면서 꽃을 핀다. 꽃의 색깔은 진분홍과 흰색 그리고 중간색으로 나타난다. 꽃은은 홑꽃과 겹꽃이 있지만 홑꽃이 더 아름답게 보인다 접시꽃은 양지바른 곳에서는 로제트 상태로 겨울을 견디어 내고 이듬해 무성하게 줄기를 곧게 뻗어 잎사귀 사이에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데 어려서 열매의 모양이 자동차 바퀴처럼 닮아서 장난감으로 가지고 놀았던 기억이 있다. 씨앗이 촘촘하게 바퀴의 타이어모양으로 둘러싸여 여물고 마르면 갈라지고 떨어진다. 어떤 이는 열매의 둥근 모양이 접시를 닮아서 접시꽃으로 불리어졌다는데 꽃의 모양도 접시와 비슷하게 .. 2020. 8. 1.
중국에선 나물로도 먹는 < 토끼풀 > 7월 31일 오늘의 꽃은 이다. 토끼풀은 기는 땅으로 기면서 자라며 줄기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잎은 마디사이에서 위로 긴 잎자루로 곧게 올라온다. 높이 20~30cm 정도이고 전체적으로 털이 없고, 땅위로 뻗어가는 줄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잎이 긴 잎자루에 달린다. 잎은 3장이 붙어서 한 개의 잎을 이룬다. 잎자루는 길이 5~15cm로서 길다. 잎은 심장 모양이고 길이 15~25mm, 너비 10~25mm이다. 끝은 둥글거나 오목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토끼풀은 콩과 식물의 특징인 질소고정 식물이다. 식물 생장에 필요한 질소를 공급해서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토끼풀의 뿌리에 공생하는 뿌리혹박테리아는 질소를 고정해 식물의 생장과 건강을 돕는데 토끼풀이 사용하는 질소는 그 일부에 .. 2020. 7. 31.
꿈에서 마저 보고 싶은 아름다움 < 해오라비 난초 > 7월 30일 오늘의 꽃은 이다. 해오라비 난초는 양지쪽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5∼40 cm이고 밑에 1∼2개의 초상엽(鞘狀葉)이 있으며 그 위에 3∼5개의 잎이 달린다. 잎은 비스듬히 서고 넓은 선형이며 밑은 잎집으로 되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3 cm 정도로 1∼2개가 원줄기 끝에 달린다. 꽃받침은 좁은 난형이고 5∼7맥이 있으며 꽃잎은 길이 10∼13 mm이다. 순판(脣瓣)은 3개로 갈라지는데, 중앙갈래조각은 선형이고 옆갈래조각은 반월형이며 바깥쪽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져서 날개를 활짝 편 황새같이 보인다. 해오라비난초란 이와 같은 형태에서 생긴 이름이다. 꿀주머니는 길이 3∼4 cm이다. 한국(칠보산) ·일본에 분포하며,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해오라비 난.. 2020. 7. 30.